본문 바로가기
치매와 함께라면

중앙치매센터 vs. 치매안심센터: 정부 지원 정책 총정리

by whisperlight 2025. 7. 1.
반응형

중앙치매센터?
보건복지부 산하 국가기관인 중앙치매센터와 치매안심센터의 차이점, 정부에서 제공하는 치매 지원 서비스 전반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중앙치매센터란 어떤 곳인가요?

중앙치매센터는 우리나라에서 치매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국가 기관입니다.
치매의 예방, 조기진단, 돌봄, 연구, 교육, 인식 개선 캠페인까지 모든 과정을 기획하고 조정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합니다.

  • 설립: 2012년 보건복지부 지정
  • 운영: 2021년부터 국립중앙의료원(NMC)이 위탁 운영
  • 역할: 전국 치매 사업의 정책 기획, 연구 개발, 데이터 관리, 정책 평가 등

중앙치매센터는 어디 소속인가요?

  • 보건복지부 산하 국가기관으로, 현재는 국립중앙의료원이 위탁 운영 중입니다.
  • 2021년 6월 30일부터 「치매관리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법적으로 지정된 운영체계로 전환되었습니다.
  • 웹사이트(nid.or.kr)와 함께 전화상담(☎1899-9988), 뉴스레터, 교육자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합니다.
  • ✅ 온라인: 중앙치매센터 공식 홈페이지 운영
  • ✅ 오프라인: 별도 진료기관은 없으며, 정책 개발과 지역센터 지원 기능 중심

중앙치매센터 vs 치매안심센터 — 뭐가 다른가요?

항목 중앙치매센터 치매안심센터
소속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중앙의료원 위탁 운영 시·군·구 보건소 소속 (지역에 따라 독립 운영 가능)
역할 정책 기획, 연구, 중앙 지원 지역 주민 대상 서비스 직접 수행
위치 전국 단일기관 (온라인 중심) 전국 보건소 내 설치 및 독립 운영 장소
제공 서비스 정책 안내, 자료제공, 연구 총괄 무료검진, 인지 프로그램, 가족 상담, 조호물품 지원
 
쉽게 말해, 중앙치매센터는 ‘설계자’, 치매안심센터는 ‘실행자’ 역할입니다.

중앙에서 기획한 치매 관련 정책과 프로그램을, 지역 단위에서 실제로 수행하는 곳이 치매안심센터입니다.

중앙치매센터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은?

중앙치매센터는 치매 예방과 돌봄의 전 과정에서 실질적인 지원을 기획하고, 이를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지역 주민에게 전달합니다.

지역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받는 지원

1. 조기 검진 및 진단 지원

  • 치매안심센터에서 무료 선별검사 진행
  • 필요 시 정밀검사 연계

2. 치료비 및 검사비 지원

  • 저소득층 대상 치매검사 및 약제비 일부 지원
  • 장기요양보험 등급 판정 연계

3. 인지 재활 및 가족 지원

  • 치매 초기 환자 대상 인지자극 프로그램 운영
  • 보호자 교육 및 정서 지원
  • 조호물품(기저귀, 방수매트 등) 제공

4. 배회 및 실종 예방 서비스

  • 배회 가능 어르신 대상 인식표 발급
  • 위치 추적기, GPS 밴드 등 실종 방지 장비 지원

5. 맞춤형 사례관리, 쉼터 프로그램 등

지역 주민 대상 지역사회 자원 연계 서비스

중앙치매센터에서 제공하는 지원

  • 치매 정책 기획·조정 및 연구
    국가 치매 정책 수립, 연구과제 기획 및 평가
  • 전국 치매센터 종사자 교육
    지역 안심센터 종사자 대상 온라인 직무교육 및 전문교육 과정 운영
  • 치매상담콜센터 운영 (24시간)
    중앙콜 ☎1899‑9988에서 전국 상담 가능, 돌봄 정보 제공
  • 치매 통계·정보 제공 및 인식개선 캠페인
    정책브리핑, 홍보 자료, 인식개선 활동, 치매국가책임제 설명 등

 

중앙치매센터는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치매 전문 정책기관으로, 실제로 전국의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삶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 지원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혹시 가족 중 치매 초기 증상이 의심되거나, 어떤 지원이 가능한지 막막하셨다면, 📍가까운 치매안심센터에 먼저 방문해 보시고, 중앙치매센터 홈페이지도 꼭 활용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