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매와 함께라면

방문간호와 가정간호, 치매 환자에게 어떤 서비스가 더 좋을까?

by whisperlight 2025. 7. 9.
반응형

치매 환자를 위한 방문간호와 가정간호 활용법

1. 방문간호와 가정간호의 차이점

방문간호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에 따라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돌봄 중심 서비스이며,

가정간호병원에서 제공하는 건강보험 기반의 의료 서비스입니다.

구분 방문간호 가정간호
제도 기반 노인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 (의료법 기반)
제공 주체 방문간호기관 병원 가정간호실
대상 장기요양등급 수급자 퇴원환자, 거동불편자, 중증질환자 등
간호 인력 간호사 또는 간호조무사 간호사
주요 내용 일상건강관리, 복약지도, 질병관리 주사, 상처치료, 도뇨, 말기환자 돌봄 등
비용 구조 공단 부담 + 본인부담금(10~15%) 건강보험 적용, 일부 본인부담

2. 치매 환자에게 두 제도는 어떻게 다르게 적용될까?

치매 환자는 일반적으로 장기요양등급을 받고 방문간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가정간호도 함께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알츠하이머 외 질환 동반(파킨슨병, 뇌졸중 등)
  • 방광 카테터, 욕창, 정맥주사 등 의료적 처치가 필요할 때
  • 퇴원 후 재택 회복 중일 때

즉, 일상 돌봄과 건강관리 중심은 방문간호, 의료적 처치 중심은 가정간호가 적합합니다.

3. 각 제도의 신청 절차

🔹 방문간호 신청 절차 (장기요양)

  1.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인정 신청
  2. 등급 판정 후 방문간호 포함된 케어플랜 수립
  3. 의사의 방문간호지시서 발급
  4. 지정 방문간호기관과 계약 후 이용

🔹 가정간호 신청 절차 (건강보험)

  1. 퇴원 예정이거나 의료적 필요 발생 시, 담당의사와 상담
  2. 병원 내 가정간호실에 요청
  3. 의사 지시 하에 가정간호 시작

4. 이용 가능한 기관 찾는 방법

🔸 방문간호 기관 찾기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전화(1577-1000) → 장기요양기관 검색 메뉴 이용

🔸 가정간호 제공 병원 찾기

종합병원, 요양병원, 대학병원 웹사이트에서 ‘가정간호실’ 운영 여부 확인 또는 직접 전화 문의

5. 실제 사례로 보는 활용 예시

🧓 사례 1: 중증 치매 어르신 (방문간호 이용)

85세 치매 어르신이 3등급 장기요양등급을 받고, 주 2회 간호사가 방문하여 혈압 측정, 복약 지도, 위생관리, 가족 교육 등 수행.

🏥 사례 2: 치매 + 당뇨 합병증 환자 (가정간호 병행)

치매와 당뇨로 입원 후 퇴원한 환자. 병원에서 가정간호팀이 중심정맥주사, 상처관리 위해 주 3회 방문. 이후 장기요양 등급 신청하여 방문간호로 전환.

---

치매 환자의 경우, 상태에 따라 방문간호와 가정간호를 함께 고려하면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재택 돌봄이 가능합니다.

반응형